본문 바로가기

Home >

물고기는 고통을 느끼지 않을까?

낚시를 하다 보면 문득 ‘물고기도 고통을 느낄까?’라는 의문이 들곤 합니다. 모두가 아는 사실처럼 대부분 생명체는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고기도 생명체이기 때문에 고통을 느낄 텐데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에 입에 꿰어져도 비명을 지르거나 고통스러운 표정을 짓지도 않고 몸을 파닥이기만 하죠. 이 행동이 고통스러워하는 행동인지 반사적인 행동인지를 구분할 수 없어 주제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글_사물궁이 잡학지식



수 세기 동안 물고기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는 주장이 정설로 통했습니다. 사람은 통증을 감지할 수 있는 통각수용기가 존재하고 통증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섬유인 C섬유와 Aδ섬유가 있어요. 물고기는 이 섬유가 거의 없었고, 이를 인식할 대뇌 신피질(neocortex)이 없어 통증을 느낄 수 없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뇌의 다른 부분을 통해 물고기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주장했고, 2000년대에 들어서 관련 연구 자료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잘 알려진 실험은 벌침의 독액과 아세트산(산성 용액)을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입술에 바르자 수조의 벽면과 바닥 등에 입술을 비비는 행동을 보인 실험인데, 이 행동이 포유류가 통증을 느낄 때 완화를 위해 하는 행동과 비슷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이외에도 2009년에 금붕어를 이용해 진행한 실험이 있어요. 실험 방법은 한쪽 집단(실험군)에는 진통제(모르핀)를 투여하고, 한쪽 집단(대조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물의 온도를 38℃까지 천천히 올리고 물의 온도를 낮춘 다음 금붕어의 행동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실험 결과 진통제를 투여한 집단은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진통제를 투여하지 않은 집단은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죠, 이를 근거로 물고기도 통증을 느낀다고 주장했는데, 해당 연구는 설계가 빈약하고 해석상의 오류가 있다는 의견으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물고기가 통증을 느끼는지에 관해서 명확한 결론 없이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만약 물고기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많은 변화가 생길 수 있어요.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스위스 정부에서는 2018년 3월 동물보호법을 개정해 살아있는 바닷가재나 새우 등 십각목에 해당하는 갑각류는 산 채로 조리하지 못하게 되어 있어요. 그 이유는 갑각류가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고, 이와 관련한 근거는 2013년 실험생물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에 게재된 논문입니다.

 

내용을 보면 게의 다리에 전선을 연결하고, 게가 숨을 동굴 2개(A, B)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A 동굴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반복해 주었더니 게가 A 동굴을 피해 B 동굴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또한, 일부 게는 자기 다리를 자르고 도망가기도 했죠.



이런 반응을 근거로 동물보호단체 운동가와 과학자들은 갑각류가 고통을 느낀다고 주장했고, 스위스 정부에서는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만약 물고기도 고통을 느낀다는 게 입증되면 동물보호법이 개정될 수도 있어요. 오늘의 궁금증은 해결되셨나요?